'Review' 카테고리의 글 목록

Review 28

코로나 알람 개발 후기 및 디벨롭 계획

설에 시간도 많기도 하고... 공부보다 평소에 하고 싶었던 자그만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 어떨까 싶었다. 예전에 학원쌤이 만들었다고 하셨던 코로나 확진자수 현황을 매일 카카오톡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나도 한 번 만들어 보고자 해서 간단하게 필요한 기능만 추려서 만들게 되었다. 만들 때 설계의 주안점으로 둔 것은 1. Type Script 2. DI 등 데코레이터를 활용해보기 3. Oracle Cloud 배포 사실 정말 필요한 기능만 만들고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는 부분은 안 만드려고 했는데 테스트를 하다보니 어찌저찌 만들게 되었다. 일단 만들어서 오라클 클라우드에 배포했고, 아침마다 나에게 날아오고 있다. 사실 부모님께 전송하고 싶었는데.... 친구목록 전송을 구현하려면 가지고 올 수 있는 친구도..

Oracle Cloud 배포시 겪었던 것들 정리 (CentOS)

오라클 클라우드는 프리티어 계정으로 두 개의 인스턴스를 주고 아주 구린 하드웨어를 준다 (당연..) 1. /bin/sh: warning: setlocale: LC_ALL: cannot change locale (en.utf-8) 에러 내용 보면 알겠지만.. 언어 설정 때문인데 저렇게 설정하면 안된다고 리눅스 커뮤니티에 어떤 사람이 그래서 변경함... https://www.linuxquestions.org/questions/linux-newbie-8/bash-warning-setlocale-lc_all-cannot-change-locale-en-us-utf-8-a-4175628657/ locale 로 확인해보니 이렇게 되어있는데 LC_ALL=en.utf-8을 LC_ALL=en_US.utf8 로 변경하라함...

Review/디버깅 2022.02.02

Oracle Cloud VM instance에 SSH 접속하기 (Mac)

Oracle Cloud에 배포중, SSH 접속시 어떤 방법을 이용했는 지 기록해놓으려... 1. CentOS 7 인스턴스 생성 2. private, public key 다운로드 3. 로컬컴퓨터 cd ~/.ssh 4. mv private key id_rsa, mv public key id_rsa.pub 로 파일 이름 변경 5. chmod 400 id_rsa, chmod 300 id_rsa.pub 6. ssh opc@ -> 아직 opc의 뜻이 무엇인지는 파악하지 못했당 계정이 기본으로 이걸로 할당되나? 허허

Review/디버깅 2022.02.02

[Node.js] Error: Cannot find module 'fs/promises'

지금 LTS 버전의 노드 14 를 쓰고 있는데도 fs/promises 가 배포시 작동을 안했다... 하필 운영에서...( 테스트할 땐 안그러더니 왜?!) fs/promises는 웬만하면 사용하지 마세요 ㅠ_ㅜ 아니 기본 모듈이라 안심하고 썼는데 안되자나요... 보자마자 이거 진짜 좋챠나~ 하면서 썼다가 완전 당황해버렸... 그냥 동기 방식을 쓰던가... promise를 만들어서 쓰던가...

Review/디버깅 2021.11.23

Promise.allSettled is not a function

Promise.allSettled를 이용해서 안전하게 Promise함수의 병렬 처리를 해보려고 헀었는데 노드 버전을 14로 낮추기만 해도 안되는 이슈가 있었다. nvm에서 아무래도 노드 16을 삭제 해야할 듯 하다.. :( 찾아보니 Promise.allSettled 는 Node버전 14.9 이상 부터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7576249/execute-batch-of-promise-with-promise-allsettled Execute batch of promise with Promise.allSettled() With node v10.15.1 I try to use Promise.allSettled() to executes batch..

Review/디버깅 2021.10.29

[Centos 7] Docker에서 Centos 설치 후 사용하며 겪었던 에러들 정리

Centos 나 ubuntu로 이것 저것 해보려 Docker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서 써보고 있는데 자꾸 망해서 날리고 새로 설치하고 이러고 있네..ㅎㅎ Docker에 Centos 설치하면 이런 저런 권한 문제가 있다. 다른 계정으로 쉘을 열고 사용하고 있었는데 파일을 생성하려니 권한이 없다. 매번 파일에 권한을 주며 사용하는 것보다 아예 계정에 모든 권한을 주고 시작하는 것이 편함. (.. 물론 난 이거 연습용으로 써보는거라 이렇게 했고 이런 문제는 각자의 필요에 맞추는게..) 구글링을 해보니 일단 sudo vi /etc/sudoers로 해당 파일을 수정하라고 했는데 sudo 명령어 자체가 안먹....😱 sudo를 사용할 수 있도록 sudo 패키지를 설치 후 권한 파일을 수정해보았다. 1. Sudo :..

Review/디버깅 2021.09.26

WSL 포트포워딩으로 가상의 IP 매핑하여 고정적 IP 할당하기

회사에서 개발시에는 WSL로 우분투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상황 이번에 백엔드 개발을 하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님께 서버를 하나 열어 드려야 했는데 나의 컴퓨터 아이피로 열어둔 서버로 접근이 될 줄 알았는데 안되더라 다른 개발자는 우분투 환경에서 서버 열어도 해당 pc IP로 접속 된다던데.. 안되길래 찾아보니 wsl버전이 다르더라 WSL1 같은 경우엔 윈도우에서 리눅스 쉘을 열어주지만 WSL2는 가상환경 (Hyper-V) 위에서 리눅스 쉘을 실행하며 그 쪽에서 172~로 시작하는 가상 아이피를 할당하게 된다고 한다. 실제로 Ipconfig로 확인하면 WSL 아이피는 따로 돌아가게 된다. https://github.com/microsoft/WSL/issues/4150#issuecomment-504209723..

Review/디버깅 2021.09.06

allowCredentials true 설정시 Access-Control-Allow-Origins 에 명시적 도메인 설정하자 (+ 추가 - allowedOriginPatterns)

내가 걷은 이슈 메세지 "When allowCredentials is true, allowedOrigins cannot contain the special value "*" since that cannot be set on the "Access-Control-Allow-Origin" response header. To allow credentials to a set of origin ... " : allow credentials true 로 설정하면 allowedOrigin를 "*"로 설정할 수 없다고 한다. 어제 새벽엔 그냥 도메인을 바로 설정해주고 해결했는데 정책이 궁금했음 요청의 자격증명 모드 ( Request.credentials ) 가 include이면 Access-Control-Allow-Cr..

Review/디버깅 2021.08.03

[미라클 모닝] /공부할 것 / 추가할 것

공부할 것 - cors처리시 관련 헤더 싹 정리하기 - google auth 처리 다른 방식으로 갈아 엎기 (ㅠㅠ) 아 구글 로그인 스프링에서 처리하는 방법이 따로 있더라 ^^ 어제 16000보 걷고 파김치 되어서 돌아와서 코드 짜다가 그거 보고 기절하는 줄 ~ ^^ 이틀인가 공부해서 적용했는데 다시 해야 한다니 너무 행복하다 ㅎㅎ 심지어 더 공부해야해서 남겨놓은 과제였어서 ㅎㅎ 더 공부하면 될 듯 어제 선생님 뵙고 얘기하고 추가할 기능 - 로그 저장/ 검색어 수집 -> 워드 클라우드 / 시각화 생각해볼 기능 - HTTP 통신 코드 별 에러 처리를 아예 페이지별로 해주자 유틸 함수 클래스 네이밍은 ~Util로 해주기로 마음먹었다~

[미라클모닝] 진행상황 / 고민 정리

이번 주는 면접도 몇 번 보고, 코테도 있었고... 화요일엔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많이 못한 핑계 밑밥 깔기) 다음 주에도 코테가 있다. (밑밥2) 그동안 놓고 있었던 코테 풀이도 좀 해야할텐데 못해서 아무래도 시험보러가면 엄청 당황하지 않을까 싶다 ㅠㅠ 걱정.. 걱정은 되는데 매일 코딩을 하지 않으면 아직까지 스프링 부트가 익숙하지 않아서 흐름을 놓쳐버리게 되더라. 그래서 계속 하는 게 맞다고 판단하게 되었다. 아무래도 코딩테스트 준비를 약간 느슨하게 하더라도 프로젝트를 계속 하는 게 맞는 듯 하다. 일주일간의 결과물을 타임라인으로 작성했는데 만족스럽지 못하다 ㅠㅠ 아니 JPA가 제일 어려울 줄 알았다... 근데 시큐리티 왜케 공부할게 많지... 라이프 사이클도.. 그리고 코드 찾아볼 때 궁금한..